요즘 공부를 하다 보면 애매하게 다 사용은 해봤는데, 정작 질문이 있을 때 명확하게 답변을 하기가 어려울 때가 많아 이렇게 정리를 해두려고 한다. 막상 K8s라고 하면 도커 오케스트레이션을 하는 도구라고 생각이 되지만 이게 충분한 답인가? 하는 생각이 들어 정리가 필요한 분들에게 유익한 글이 되길 바랍니다.
Kubernetes(쿠버네티스)란?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확장, 관리 등을 자동화하기 위한 오픈 소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입니다. Google에서 처음 개발하고 현재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분명 처음 생각한 답이 맞는 거 같기도 하면서도 뭔가 엉성하게 이가 빠진 것 같은 답변이라고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 특히 이직을 위한 준비라고 생각하면 맞는 것 같으면서도 애매한 답변이라고 생각되지 한 번쯤 더 확인하자.
K8s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Kubernetes의 주요 기능
-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여러 컨테이너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조정합니다. 이를 통해 컨테이너의 배포, 스케일링, 네트워크 설정 등을 자동화합니다. - 자동화된 배포 및 복구
-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배포하거나 업데이트합니다.
- 컨테이너가 비정상적으로 작동하거나 실패할 경우 자동으로 복구합니다.
- 확장성
트래픽 증가나 감소에 따라 컨테이너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확장하거나 축소합니다. - 로드 밸런싱 및 트래픽 관리
서비스 간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고, 특정 요청을 적절한 컨테이너로 라우팅 합니다. - 클러스터 내 자원 관리
CPU, 메모리 등 클러스터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할당하고 관리합니다. - 마이크로서비스 지원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 적합하며, 서비스 간의 독립적인 배포와 확장을 지원합니다.
간단하게 다시 말하면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하며 모든 걸 다한다고 보면 되겠다. 하지만 질문을 들었을 때? 명확하게 기능을 설명할 수 있어야 안다고 생각이 든다. 이건 요즘 일타 강사들이 해설이나 강의 들으면 다 안다고 생각하지?라는 말이 생각나는 순간이다. 내가 정말로 다 답변할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안다고 말할 수 있겠다. 눈으로만 보신 분들은 다시 한번 정독하며 K8s의 기능은 무엇인가요?라는 질문에 대해 안 보고 답변할 수 있는지를 다시 되새겨 보도록 하자.
자 그럼 이제 기능은 알겠고 K8s를 왜 써야 하는가? 에 대한 질문을 들어보면 명확하게 이걸 왜 써야 하지?라는 생각이 드는 분들을 위해 준비했다. 바로 아래와 같은 이유다. 그냥 막연하게 트렌 드니까? 뭐 이것도 맞겠지만 누군가 물어봤을 때 아래와 같이 답변한다면 그래도 좀 나은 대답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 사실 위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라고만 해도 충분한 대답인 것 같지만 좀 더 살펴봅시다.
Kubernetes를 사용하는 이유
- 운영 자동화
Kubernetes는 애플리케이션 배포와 운영 작업을 자동화하여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합니다. 이는 복잡한 시스템 운영의 부담을 줄입니다. - 확장성 및 유연성
- Kubernetes는 컨테이너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온프레미스,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등)에서 유연하게 동작합니다.
- 필요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동적으로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습니다.
- 높은 가용성
클러스터 내의 여러 노드에 워크로드를 분산시켜 단일 장애 지점을 방지하며, 컨테이너가 실패하더라도 자동 복구를 수행합니다. - 이식성
컨테이너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므로, Kubernetes를 사용하면 동일한 설정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 생태계와 커뮤니티
Kubernetes는 강력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으며, Helm(패키지 매니저), Prometheus(모니터링), Istio(서비스 메쉬)와 같은 다양한 도구와 통합 가능합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커뮤니티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Kubernetes의 사용 사례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운영: 개별 서비스의 독립적인 배포 및 확장을 지원.
- CI/CD 파이프라인 구축: 자동화된 배포와 롤백을 통해 DevOps 환경 최적화.
-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 클라우드 환경에서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 실행.
- 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 환경: 다양한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통합된 애플리케이션 관리를 제공.
Kubernetes는 현대 애플리케이션의 배포와 관리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필수 도구로 자리 잡고 있으며, 특히 컨테이너 기술과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조직에 큰 장점을 제공합니다.
자 오늘도 하나 공부했으니 잘 기억하도록 합시다.
'개발자의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화 테스트, Postman CLI, 이제 자체 리포트 기능을 지원합니다! (0) | 2025.02.05 |
---|---|
REST API의 캐시 설정: 성능 최적화를 위한 전략 (1) | 2024.11.29 |
REST의 의미: REST API와 웹 아키텍처의 핵심 이해 (0) | 2024.11.29 |
Selenium vs. Playwright: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1) | 2024.11.29 |
Windows 업데이트 이후 화면 깜빡이고 아무것도 할 수 없을때(Windows flickering 문제 해결 가이드 (storsvc 관련)) (0) | 2024.11.26 |
댓글